오늘의 시(詩)Home >  오늘의 시(詩) >  한국
실시간뉴스
-
꽃잎-이정하
꽃잎-이정하 그대를 영원히 간직하면 좋겠다는 나의 바람은 어쩌면 그대를 향한 사랑이 아니라 쓸데없는 집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대를 사랑한다는 그 마음마저 버려야 비로소 그대를 영원히 사랑할 수 있음을.. 사랑은 그대를 내게 묶어 두는 것이 아니라 훌훌 털어 버리는 것임을.. 오늘 아침 맑게 피어나는 채송화 꽃잎을 보고 나는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 꽃잎이 참으로 아름다운 것은 햇살을 받치고 떠 있는 자줏빛 모양새가 아니라 자신을 통해 씨앗을 잉태하는, 그리하여 씨앗이 영글면 훌훌 자신을 털어 버리는 그 헌신 때문이 아닐까요?
-
남편-문정희
남편-문정희 아버지도 아니고 오빠도 아닌 아버지와 오빠 사이의 촌수쯤 되는 남자 내게 잠 못 이루는 연애가 생기면 제일 먼저 의논하고 물어보고 싶다가도 아차, 다 되어도 이것만은 안 되지 하고 돌아누워 버리는 세상에서 제일 가깝고 제일 먼 남자 이 무슨 원수인가 싶을 때도 있지만 지구를 다 돌아다녀도 내가 낳은 새끼들을 제일로 사랑하는 남자는 이 남자일 것 같아 다시금 오늘도 저녁을 짓는다 그러고 보니 밥을 나와 함께 가장 많이 먹은 남자 전쟁을 가장 많이 가르쳐준 남자
-
-
꽃잎-이정하
- 꽃잎-이정하 그대를 영원히 간직하면 좋겠다는 나의 바람은 어쩌면 그대를 향한 사랑이 아니라 쓸데없는 집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대를 사랑한다는 그 마음마저 버려야 비로소 그대를 영원히 사랑할 수 있음을.. 사랑은 그대를 내게 묶어 두는 것이 아니라 훌훌 털어 버리는 것임을.. 오늘 아침 맑게 피어나는 채송화 꽃잎을 보고 나는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 꽃잎이 참으로 아름다운 것은 햇살을 받치고 떠 있는 자줏빛 모양새가 아니라 자신을 통해 씨앗을 잉태하는, 그리하여 씨앗이 영글면 훌훌 자신을 털어 버리는 그 헌신 때문이 아닐까요?
-
- 오늘의 시(詩)
- 한국
-
꽃잎-이정하
-
-
남편-문정희
- 남편-문정희 아버지도 아니고 오빠도 아닌 아버지와 오빠 사이의 촌수쯤 되는 남자 내게 잠 못 이루는 연애가 생기면 제일 먼저 의논하고 물어보고 싶다가도 아차, 다 되어도 이것만은 안 되지 하고 돌아누워 버리는 세상에서 제일 가깝고 제일 먼 남자 이 무슨 원수인가 싶을 때도 있지만 지구를 다 돌아다녀도 내가 낳은 새끼들을 제일로 사랑하는 남자는 이 남자일 것 같아 다시금 오늘도 저녁을 짓는다 그러고 보니 밥을 나와 함께 가장 많이 먹은 남자 전쟁을 가장 많이 가르쳐준 남자
-
- 오늘의 시(詩)
- 한국
-
남편-문정희
-
-
8월의 시-오세영
- 8월의 시-오세영 8월은 오르는 길을 멈추고 한번쯤 돌아가라는 길을 생각하게 만드는 달이다. 피는 꽃이 지는 꽃을 만나듯 가는 파도가 오는 파도를 만나듯 인생이란 가는 것이 또한 오는것 풀섶에 산나리 초롱꽃이 한창인데 세상은 온통 초록으로 법석이는데 8월은 정상에 오르기 전 한번쯤 녹음에 지쳐 단풍이 드는 가을 산을 생각하는 달이다.
-
- 오늘의 시(詩)
- 한국
-
8월의 시-오세영
실시간 한국 기사
-
-
고독-김광섭
- 고독-김광섭 내 하나의 생존자로 태어나서 한 칸 무덤 그 너머는 무한한 기류의 파동도 있어 바다 깊은 그곳 어느 고요한 바위 아래 내 고달픈 고기와도 같다 맑은 성 아름다운 꿈은 잠들다 그리운 세계의 단편은 아슬타 오랜 세기의 지층만이 나를 이끌고 있다 신경도 없는 밤 시계야 기이타 너마저 자려므나 ---.
-
- 오늘의 시(詩)
- 한국
-
고독-김광섭
-
-
먼 데, 그 먼 데를 향하여-신경림
- 먼 데, 그 먼 데를 향하여-신경림 아주 먼 데, 말도 통하지 않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그 먼 데까지 가자고. 어느 날 나는 집을 나왔다. 걷고 타고, 산을 넘고 강을 건너고, 몇날 몇밤을 지나서. 이쯤은 꽃도 나무도 낯이 설겠지, 새소리도 짐승 울음소리도 귀에 설겠지, 짐을 풀고 찾아들어간 집이 너무 낯익어, 마주치는 사람들이 너무 익숙해. 사람 사는 곳 어디인들 크게 다르랴, 아내 닮은 사람과 사랑을 하고 자식 닮은 사람들과 아옹다옹 싸우다가, 문득 고개를 들고 보니, 매화꽃 피고 지기 어언 십년이다. 어쩌면 나는 내가 기껏 떠났던 집으로 되돌아온 것은 아닐까. 아니, 당초 집을 떠난 일이 없는지도 모르지. 그래서 다시, 아주 먼 데. 말도 통하지 않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그 먼 데까지 가자고. 나는 집을 나온다. 걷고 타고, 산을 넘고 강을 건너고, 몇날 몇밤을 지나서.
-
- 오늘의 시(詩)
- 한국
-
먼 데, 그 먼 데를 향하여-신경림
-
-
비-이준관
- 비-이준관 비는 아프다. 맨땅에 떨어질 때가 가장 아프다. 그렇다. 맨땅에 풀이 돋는 것은 떨 어 지 는 비를 사뿐히 받아 주기 위해서다. 아픔에 떠는 비의 등을 가만히 받아 주기 위해서다.
-
- 오늘의 시(詩)
- 한국
-
비-이준관
-
-
물 1-권달웅
- 물 1-권달웅 어둠 속에 엎드려 물소리를 듣는다 사람들 소리는 사라져도 우리는 아직도 물소리로 살아서 허옇게 소리치고 있다. 누구인지, 엎드린 사람에게는 물소리가 들린다. 휘어지지 않기 위하여 휘어지는 밤 가슴으로 듣는 물소리
-
- 오늘의 시(詩)
- 한국
-
물 1-권달웅
-
-
취급이라면-김경미
- 취급이라면-김경미 죽은 사람 취급을 받아도 괜찮습니다 살아 있는 게 너무 재밌어서 아직도 빗속을 걷고 작약꽃을 바라봅니다 몇 년 만에 미장원엘 가서 머리 좀 다듬어 주세요, 말한다는 게 머리 좀 쓰다듬어 주세요, 말해 버렸는데 왜 나 대신 미용사가 울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잡지를 펼치니 행복 취급하는 사람들만 가득합니다 그 위험물 없이도 나는 여전히 나를 살아 있다고 간주하지만 당신의 세계는 어떤 빗소리와 작약을 취급하는지 오래도록 바라보는 바다를 취급하는지 여부를 물었으나 소포는 오지 않고 내 마음속 치욕과 앙금이 많은 것도 재밌어서 나는 오늘도 아무리 희미해도 상관없습니다 나는 여전히 바다 같은 작약을 빗소리를 오래오래 보고 있습니다
-
- 오늘의 시(詩)
- 한국
-
취급이라면-김경미
-
-
사랑하는 별 하나-이성선
- 사랑하는 별 하나-이성선 나도 별과 같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외로워 쳐다보면 눈 마주쳐 마음 비쳐 주는 그런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나도 꽃이 될 수 있을까 세상일이 괴로워 쓸쓸히 밖으로 나서는 날에 가슴에 화안히 안기어 눈물짓듯 웃어 주는 하얀 들꽃이 될 수 있을까 가슴에 사랑하는 별 하나를 갖고 싶다 외로울 때 부르면 다가오는 별 하나를 갖고 싶다. 마음 어두운 밤 깊을수록 우러러 쳐다보면 반짝이는 그 맑은 눈빛으로 나를 씻어 길을 비추어 주는 그런 사람 하나 갖고 싶다.
-
- 오늘의 시(詩)
- 한국
-
사랑하는 별 하나-이성선
-
-
행복-나태주
- 행복-나태주 저녁 때 돌아갈 집이 있다는 것 힘들 때 마음속으로 생각할 사람 있다는 것 외로울 때 혼자서 부를 노래 있다는 것.
-
- 오늘의 시(詩)
- 한국
-
행복-나태주
-
-
꽃샘추위-오세영
- 꽃샘추위-오세영 어지러워라 첫사랑의 아픔은 항생제로도 듣지 않는다 뜨겁게 달아오른 체열로 밤을 하얗게 밝힌 아침 봄이 오는가 싶더니 문득 눈보라가 몰아친다 벌던 꽃잎을 접고 맨 몸으로 오한을 견디어내는 뜰의 홍매화 한 쌍 *
-
- 오늘의 시(詩)
- 한국
-
꽃샘추위-오세영
-
-
수평선 1-김형영
- 수평선 1-김형영 하늘과 바다가 내통(內通)하더니 넘을 수 없는 선을 넘었구나 나 이제 어디서 널 그리워하지
-
- 오늘의 시(詩)
- 한국
-
수평선 1-김형영
-
-
자존심에 대한 후회-정호승
- 자존심에 대한 후회-정호승 나에겐 버릴 수 있는 자존심이 너무 많은 게 탈이었다 돈과 혁명 앞에서는 가장 먼저 가장 큰 자존심을 버려야했다 버릴 수 없으면 죽이기라도 해야 내가 사는 줄 알았다 칼을 들고 내 자존심의 안방 문을 열고 들어가 자객처럼 자존심의 심장에 칼을 꽂아도 자존심은 늘 웃으면서 산불처럼 되살아났다 어떤 자존심도 도끼로 뿌리까지 내리찍어도 산에 들에 나뭇가지처럼 파랗게 싹이 돋았다 버릴 수 있는 자존심이 너무 많아서 슬펐던 나의 일생은 이미 눈물로 다 지나가고 이제 마지막 하나 남은 죽음의 자존심은 노모처럼 성실히 섬겨야한다 자존심에도 눈이 내리고 꽃이 피는지 겨울새들이 찾아와 맛있게 먹고 가는 산수유 붉은 열매가 달려 있다
-
- 오늘의 시(詩)
- 한국
-
자존심에 대한 후회-정호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