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1(화)
 


20230130_092335.png

IMG-7548.jpg

IMG-7547.jpg

20230130_094235.png

 

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총회장, ‘1회 대한민국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서 바이든 대통령 축사 대독

미주한인의 날 제정까지의 경과보고미주한인이민 120년사 및 세계한인재단 등 영상 소개도

()평화통일범국민운동본부, 대한민국헌정회, ()한미협회, 세계한인재단, 한국계 미국 시민협회 공동 주최, 나라아트 단독 주관

행안부 통일부 후원하얏트호텔서울 그랜드볼룸서 700명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

 

서울(김정태 기자)-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상임 대표 총회장(이하 박상원 총회장으로 표기)27일 오후 6시 서울 용산에 위치한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개최된 1회 대한민국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했다. 

20230130_095801.png

20230130_111121.png

기념대회 사회는 김병찬, 황수경 아나운서가 맡았으며, 엄신형 목사의 개회기도를 시작으로 최중경  (사) 한미협회장의 개회 선언 명예대회장 정상림 박사의 환영사,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김희정 전여성가족부장관)와 조바이든 미국대통령의 축사(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총회장) 대독, 유엔사/연합사/주한군사 기참부장 로버트 소프지 소장의 축사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기념식에는 한국 정재계 인사를 비롯해서 재외동포 단체 관계자와 주한미국대사관, 주한미군 관계자 및 각국 외교사절 등 약 700여명이 참석했다. 

20230130_111316.png

20230130_130513.png


20230130_092022.png

 김희정 전 여성가족부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하고 있다. 동영상 자막의 이희정 전 여성가족부장관은 오타였기에 바로 잡는다.

20230130_092453.png

20230130_092554.png

1회 대한민국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는 대회장 정상림 박사의 환영사,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김희정 전 여성가족부장관 대독)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축사(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총회장 대독),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대사·로버트 소프지 소장(유엔사 연합사 주한미군 기참부장이훈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 ·김일윤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의 축사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서 박상원 세계한인재단총회장의 경과보고, 미연방하원의원 지미고메즈(.4.캘리포니아 주 34지역구)와 앤디 김(. 3.뉴저지주 제3지역구)의 영상 축사, 미주한인이민 120주년이 있기까지의 영상물과 함께 20051213일과 16일 미연방의회 상·하원에서 미주한인이 최초로 1903년 하와이 주 호놀룰루에 첫발을 내 딛은 113일을 미주한인의 날(The Korean American Day)’로 제정하는 안건을 연방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기까지의 영상물과 미주한인이민 100주년기념사업회를 모태로 설립한 미주한인재단이 오늘 날 세계한인재단이 주축이 되어 활동 중인 영상물 소개, 이번 기념식 및 행사를 단독 주관한 나라아트 양승국 회장의 축사와 함께 나라 아트와 나비연구재단 소개가 2부 만찬 및 여흥이 시작되기 전까지 이어졌다.

20230130_092646.png

20230130_092810.png

20230130_093140.png

20230130_093400.png

이번 기념식 및 행사는 정상림박사가 대회장을 맡았으며, 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상임대표 총회장과 나라아트 양승국 회장이 대회총괄을 맡았다. 명예대회장으로 엄신형 (사단법인 평화통일범국민운동본부 총재), 황교안 (전 국무총리), 김일윤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최중경 (사단법인 한미협회 회장), 김호일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회장), 정재호 (민족중흥회 회장), 박을술 (사단법인 한미협회 고문), 신현웅 (한국계 미국 시민협회 명예회장)이 맡았다. 또한 행사는 나라아트(회장 양승국)가 단독

주관하고, 통일부와 행정안전부가 후원하고, 나라메타의 협찬으로 진행되었다.

20230130_093736.png


20230130_094321.png

20230130_094528.png

20230130_094655.png

20230130_094814.png

20230130_094044.png

▲미연방하원의원 지미고메즈(민.4선.캘리포니아 주 34지역구)이 영상 축사를 하고 있다.

20230130_094123.png

▲미연방하원의원 앤디 김(민. 3선.뉴저지주 제3지역구)의원이 영상 축사를 하고 있다.


시상위원회에는 김동주 (전 국회의원), 박강수 (전 배재학교 총장), 김재철 (MBC사장), 이원군 (KBS부사장), 김춘호 (전 한국 뉴욕주립대학교 총장), 박창식 (전 국회의원)이 함께 한다.

 

특별위원회는 이북오도청의 전,현직지사 7명이 참여하며, 김기찬 (현 황해도지사), 김재홍 (전 함경북도지사), 박성재 (전 황해도지사), 오영찬 (전 평안북도지사), 이명우 (전 평안남도지사), 이훈 (현 함경북도지사), 이진규 (현 함경남도지사)가 뜻을 같이 했다.

 

추진위원회의 조직위원장으로는 유인학 전 국회의원과 한국 근우회 이희자 회장이 공동조직위원장을 맡았다. 

IMG-7527.jpg

2023년 현재 한국은 전세계가 열광하고, 문화와 기술력을 인정받는 국가가 되었다. 한국인들이 미국으로 이주를 시작한 1903년으로부터 120년이 지난 지금 미국사회 내에서 한국인들은 눈부신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를 개최하여 미주사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인들을 조명하고, 한국과 미국의 글로벌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이 본 행사의 취지였다. 

IMG-7544.jpg

이번 행사에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기술을 토대로 한국과 미국 사회의 협력을 통해 발전된 미래 사회로의 첫걸음을 위한 혁신 기업 비전발표가 진행됐다. 나라아트 양승국 회장은 시대의 화두인 메타버스 기술은 5G 상용화와 web3.0시대에 우리의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이 처한 분단의 현실 속에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1300만 실향민들이 고향을 잃은 아픔을 달래며, 전세계 흩어진 실향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로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했다.

20230130_094954.png

이번 행사에서 나라메타 (회장 양승국-위 아래 사진)은 기존의 3D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전세계를 구축한 메타버스를 소개하고, 북한의 평양 능라도 경기장과 이북오도청을 구현한 메타버스를 선보였다. “메타버스 : 통일을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하다는 슬로건으로 한미 양국의 동맹과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고, 기술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기술과 콘텐츠로써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나라메타는 이북오도청과 1300만명의 이북오도민을 위한 메타버스를 구축한다. 

IMG-7546.jpg

기념대회장을 맡은 정상림 박사는 대한민국이 경제적인 부흥을 꿈꾸던 1980년대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던 시절을 회상하며, 120년전 노동이민으로 6.25 참전용사로 참여하며, 누군가의 희생과 노력이 전세계인들이 바라보고 동경하는 대한민국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했다며, 본 행사를 통해 역사적 교훈과 지혜를 얻고 더 번영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본 행사의 대회장을 맡았다고 소회를 밝혔다.

 

메타버스 플랫폼과 기술,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 나라메타에는 기술, 콘텐츠, 미디어, 문화재 복원 등 60여명의 박사들이 참여한 나라아트비전인스티튜트 (이하 나비연구재단)가 전략연구소로써 함께 하고 있다. 김춘호 전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총장이 고문으로, 사단법인 한국공유정책연구원 이사장인 양해진 박사를 연구단장으로 위촉했다.

 

이중표 나라메타 개발본부 본부장은 약 60여명이 참여한 나비재단의 박사님들과 앞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기술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번 행사에서 보여드린 메타버스, 온오프라인 플랫폼 등 한국의 앞선 역량을 통해 한미양국을 넘어 글로벌의 선두기업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IMG-7532.jpg

IMG-7533.jpg

IMG-7534.jpg

IMG-7535.jpg

IMG-7536.jpg

 

태그

전체댓글 0

  • 6361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박상원 세계한인재단 총회장, ‘제1회 대한민국 미주한인의 날 기념대회’서 바이든 대통령 축사 대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