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방준비제도(Fed), 0.5%P '빅컷' 선택…30개월만에 긴축 마침표 찍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경기둔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긴급히 금리를 낮췄던 2020년 3월 이후 4년6개월 만의 금리 인하다. 2022년 3월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이후로는 30개월 만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이기도 하다.
Fed는 18일(현지시간)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5.25~5.5%에서 연 4.75~5.0%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그간 ‘베이비컷’(0.25%포인트 인하)이냐 ‘빅컷’이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으나 결과는 빅컷이었다. 예상보다 노동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고 판단해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총 12명의 위원 중 한 사람을 제외한 11명이 0.5% 포인트 인하에 찬성했다고 Fed는 전했다.
실제 8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5%로 3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확연하게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미국의 8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전월보다 14만2000명 늘어나며 시장 예상치 16만4000명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뉴욕타임스(NYT)는 “경제가 너무 둔화돼 고용 시장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Fed가 이례적으로 큰 폭의 인하를 했다”며 “Fed가 금리 인하 시대로 전환했으며, 더 많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Fed는 이날 성명을 통해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계속 견고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Fed는 이어 “인플레이션은 FOMC의 2% 목표를 향해 더 진전을 보였지만 여전히 다소 올라가 있는 상태”라면서 “FOMC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더 큰 자신감을 얻었고,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노동시장이 냉각되었다는 점이 확실하다”면서 “노동시장을 지원할 시기는 노동시장이 강할 때, 즉 정리해고가 나타나기 전”이라고 했다. 다만 고용시장이 현재 심각한 침체 우려를 보이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용시장 냉각은 확실하지만, 여전히 최대 고용 상황과 비슷하다”면서 “미국 경제는 기본적으로 괜찮다”고 강조했다.
Fed는 이날 함께 발표한 점도표에서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를 종전의 5.1%에서 4.4%로 낮췄다. 내년 이후 기준금리 중간값은 2025년 말 3.4%(6월 예측치 4.1%), 2026년 말 2.9%(6월 예측치 3.1%), 2027년 말 2.9%(6월 예측치 없음)로 각각 예상했다. 이는 연내에 0.5% 포인트, 내년에는 1%포인트 추가로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결정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2022년 3월부터 이어졌던 미국의 긴축 통화정책 기조는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Fed는 2022년 3월부터 작년 7월까지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한 후 작년 9월부터 지난 7월 회의까지 8차례 연속 동결한 바 있다.
앞으로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도 미국에 발맞춰 기준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이날 카타르ㆍ사우디아라비아ㆍ바레인 등 주요 중동 국가들이 잇따라 정책금리를 내렸다. 이들은 자국 통화 가치를 미국 달러화에 연동하는 방식의 고정환율제(달러 페그)를 채택하고 있다. 미국 연준의 움직임에 따라 금리를 올리거나 낮춰야 하는 구조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정책금리를 연 3.75%에서 3.50%로 인하한 유럽중앙은행(ECB)은 이르면 10월 늦어도 12월엔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이 유력하다. 3회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캐나다중앙은행(BOC)도 다음 달에도 추가로 금리를 내릴 전망이다. 지난달 금리인하를 시작한 영란은행(BOE)도 오는 11월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 결국 본격적인 글로벌 금리인하 사이클이 시작되는 셈이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피벗은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숨통을 틔워 줄 것”이라며 “중국도 세계적인 통화정책 완화 흐름에 적극 동참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기존에 2.00% 포인트 차로 역대 최대였던 한국(3.50%)과 미국(5.25∼5.50%)의 금리 격차도 최대 1.50% 포인트로 줄어들었다.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를 여는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일단 국내 물가상승률은 확연한 둔화세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한은과 정부 목표치(2%대)에 안착했다. 대통령실까지 나서 이례적으로 금리 인하 필요성을 언급할 정도로 내수 진작 필요성도 커졌다.
하지만 한은이 바로 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하기에는 넘어야 할 장애물이 적지 않다. 잡히지 않는 가계부채와 집값 급등세가 그것이다. 한은은 지난 12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추이가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 향후 금리 인하 시기와 속도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며 “경제주체들에 이런 정책 방향을 명확히 전달해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시장 기대를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 상황에 따라 금리 인하 시기와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내 남아 있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는 10월과 11월 두 차례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다음 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3.5%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금리 인하 효과가 6개월 안팎의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만큼 내수를 살리기 위해 한은이 피벗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여기에 전세계적인 금리 인하 흐름에 보폭을 맞추지 않을 경우 외환 수급 및 환율의 변동성이 커지며 경제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한편 이날 뉴욕 증시는 다우존스(-0.25%), S&P500(-0.29%), 나스닥(-0.31%) 등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소폭 하락 마감했다. 전날엔 금리인하 기대로 6만1000달러를 넘었던 비트코인 가격도 5만달러대로 거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증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시장은 경기 침체 확산 가능성에 안심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출처: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