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0-11(수)
 

SSI_20220714165108_O2.jpg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트럼프 말의 속내는

당신이 지금껏 오해한, 세상을 지배한 단어들

 

SSI_20220714165309_O2.jpg

 

해롤드 제임스 지음/안세민 옮김

앤의서재/512/22000

 

나의 언어의 한계는 나의 세계의 한계를 의미한다.”

 

언어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했다는 이 말은 인간의 언어가 구축하는 세계가 얼마나 큰지, 또 한편으로 그 언어가 얼마나 오남용되기 쉬운지 직접적으로 보여 준다.

 

당신이 지금껏 오해한, 세상을 지배한 단어들은 우리 시대를 설명하는 주요 단어의 변화상을 추적하고 단어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는 책이다. 저자는 프린스턴대 역사학 교수로 30년간 세계화를 연구한 학자다.

 

그는 우리가 겪는 정치·경제적 혼란의 많은 부분은 개념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단어에서 온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 사회주의, 제국주의와 헤게모니, 포퓰리즘, 테크노크라시, 신자유주의 등은 오늘날 문화, 정책, 경제 전쟁에서 일종의 탄약으로 발사되는 단어다. 이 단어들은 논점을 흐리게 하거나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비난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이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구호를 외친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 백인 우선주의를 내세워 파시스트라는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트럼프는 좌파 파시스트라는 말로 자신의 반대 세력을 공격했다. ‘글로벌리즘’, ‘글로벌리스트는 트럼프와 그의 지지자들에게 곧 국익을 해치는 적이었다. 트럼프 본인이 세계 전역을 돌아다니며 거래한 국제 사업가였다는 점에서 아이러니한 일이다.

 

이처럼 정치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한 국가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국경을 넘어 이웃나라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데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저자는 개념들의 기원을 밝히는 한편 각 단어가 어떻게 서로를 존중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아닌 장애물이 됐는지 설명한다. 논쟁 대상이 되는 단어들을 단지 정치 논쟁으로 치부하지 말고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리적,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소통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2512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트럼프 말의 속내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